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오랑 세오녀 신화와 쌍거북 바위

728x90
반응형

신라 제 8대 아달라왕 즉위 4년(서기 157) 하루는 연오가 바닷가 바위에서 해초를 따고 있는데 갑자기 바위가 연오를 태우고 일본으로 가게 되었다. 일본 사람들은 바위를 타고 온 연오를 비상한 사람으로 여겨 그를 소국의 왕으로 삼았다. 한편 세오는 남편이 돌아오지 않자 이상하게 여겨 바닷가에 가서 찾다가 남편이 벗어 놓은 신발을 발견했다. 세오가 남편의 신발이 있는 바위 위로 올라갔더니 바위는 또 이전처럼 그녀를 싣고 일본으로 갔다. 연오세오 부부가 떠난 후 신라에는 해와 달이 사라지는 기이한 일이 일어난다. 아달라왕은 부부에게 돌아와 달라 청하였지만, 이미 일본 마을의 왕이 된 부부는 돌아갈 수 없었다. 대신 세오가 짠 명주비단을 실어 보내며 하늘에 제사를 지내라 하였고, 그 말대로 제사를 지내니 신라에는 사라진 해와 달이 돌아와 빛을 되찾았다. 

 그 비단을 어고에 두어 국보로 삼고 그 창고를 귀비고라하여 하늘에 제사 지낸 곳을 영일현 또는 도기야라고 하였다. 이 쌍거북바위는 삼국유사의 기록에 나오는 연오세오를 싣고 간 바위의 의미와 상징성을 살려 새로운 세계로 뻗어가는 환동해 도시 포항이 새로운 문화교류를 통해 더욱 도약하고자 하는 염원을 담고 있다. 또한 거북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동서양의 많은 나라에서 신화나 전설 상 신령스러운 동물로 여겼으며 십장생 중의 하나로서 바위에 장수와 복덕을 상징한다. 연오세오 부부의 정기를 품은 귀비고의 쌍거북바위는 몸길이 5.2m, 너비4.0m, 높이 2.1m로 무게가 65톤에 달한다.

연오랑 세오녀 신화의 노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