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리고 1945년 8월 15일, 일본은 항복하고 한반도는 광복을 맞았다. 여운형 등은 건국동맹을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로 확대 개편하였으며, 8월 말까지 건국준비위원회는 지방 세력의 호응을 받으며 전국에 145개 지부를 두게 되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건준에게 행정권 등을 제대로 이양하지 않아 마찰이 벌어졌는데, 이는 일본 본국에서 행정권을 미국에게 이양하라는 지시가 떨어졌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김성수, 송진우 등의 우익 세력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봉대[8]'를 주장하며 건국준비위원회에 협조하지 않았다.
이러던 중 9월 초에 미군이 진주한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건국준비위원회 측은 마음이 급해졌다. 때문에 9월 3일 내각 개편이 이루어지고 9월 6일 조선인민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비중이 좌익 측으로 기울자 안재홍 등 중도 우파 세력이 건국준비위원회 / 조선인민공화국에서 탈퇴하였다. 그러나 9월 7일 인천항에 진주한 미군은 포고령을 통해 조선인민공화국을 승인하지 않았으며 이에 얼마 가지 않아 실권이 없는 조선인민공화국은 와해됐다. 미군은 그 외의 모든 독립운동 단체들의 한반도에 대한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임시정부나 조선인민공화국과 같은 여타의 독립운동 단체 및 자칭 정부들은 당시 국민들의 보통선거와 같은 공식적 정부 수립 절차를 갖추지 않아 이들이 국민들을 대표한다는 민주적 정당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만약 독립 운동 단체들을 공식 정부로서 승인하게 된다면 해방 후 조선 국민들이 직접 참정권을 행사하여 정부의 형태와 인적 구성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침해된다고 지적하였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사실은 미국의 이 결정이 사실 쉬운 결정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당시 한반도 주민들의 대부분이 임시정부가 아닌 사회주의계 독립운동가들[9]을 지지하고 있었으며 이것이 미국에게 엄청난 부담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임시정부를 정부 차원에서 입국시켰다간 한반도 전체가 혼란의 도가니에 빠질 것은 불보듯 뻔한 일이라고 미국은 판단한 것이다. 임시정부 요인들에게 개인 자격으로 입국하라고 한 것도 그나마 상당한 대우를 해준 셈이다.
미군정의 법률고문이었던 에른스트 프랭켈(Ernst Fraenkel, 1898~1975)은 미군정이 한반도를 점령한 것과 미군정이 유일한 적법 정부임을 다음과 같은 주장을 내세우며 정당화하였다.
이러던 중 9월 초에 미군이 진주한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건국준비위원회 측은 마음이 급해졌다. 때문에 9월 3일 내각 개편이 이루어지고 9월 6일 조선인민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비중이 좌익 측으로 기울자 안재홍 등 중도 우파 세력이 건국준비위원회 / 조선인민공화국에서 탈퇴하였다. 그러나 9월 7일 인천항에 진주한 미군은 포고령을 통해 조선인민공화국을 승인하지 않았으며 이에 얼마 가지 않아 실권이 없는 조선인민공화국은 와해됐다. 미군은 그 외의 모든 독립운동 단체들의 한반도에 대한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임시정부나 조선인민공화국과 같은 여타의 독립운동 단체 및 자칭 정부들은 당시 국민들의 보통선거와 같은 공식적 정부 수립 절차를 갖추지 않아 이들이 국민들을 대표한다는 민주적 정당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만약 독립 운동 단체들을 공식 정부로서 승인하게 된다면 해방 후 조선 국민들이 직접 참정권을 행사하여 정부의 형태와 인적 구성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침해된다고 지적하였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사실은 미국의 이 결정이 사실 쉬운 결정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당시 한반도 주민들의 대부분이 임시정부가 아닌 사회주의계 독립운동가들[9]을 지지하고 있었으며 이것이 미국에게 엄청난 부담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임시정부를 정부 차원에서 입국시켰다간 한반도 전체가 혼란의 도가니에 빠질 것은 불보듯 뻔한 일이라고 미국은 판단한 것이다. 임시정부 요인들에게 개인 자격으로 입국하라고 한 것도 그나마 상당한 대우를 해준 셈이다.
미군정의 법률고문이었던 에른스트 프랭켈(Ernst Fraenkel, 1898~1975)은 미군정이 한반도를 점령한 것과 미군정이 유일한 적법 정부임을 다음과 같은 주장을 내세우며 정당화하였다.
조선의 해방이 1910년 한일 합병 조약의 파기에 의해서 일어나지 않았고, 합병 이전의 조선을 부활시킨것이 아님 조선의 해방이 조선인들에 의한 혁명적 행동에 의해서 이루어지지 않았음.[10] 조선의 해방은 연합국의 승리와 연합국의 결의에 따른 것이므로 현재 한반도는 어떠한 세력도 영향력이 없는 무주지(無主地)임.
미군정은 9월 9일[11] 서울로 진주하였으며, 조선총독부로부터 행정권을 이양받았다.
이후 총독부로부터 권한을 이양받은 미군정의 통치는 '주권정부 없는 점령'이라는 특수한 형태로 이어졌으며, 결국 미군정이 점령지역의 주권을 대리하게되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이후 총독부로부터 권한을 이양받은 미군정의 통치는 '주권정부 없는 점령'이라는 특수한 형태로 이어졌으며, 결국 미군정이 점령지역의 주권을 대리하게되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리고 1945년 8월 15일, 일본은 항복하고 한반도는 광복을 맞았다. 여운형 등은 건국동맹을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로 확대 개편하였으며, 8월 말까지 건국준비위원회는 지방 세력의 호응을 받으며 전국에 145개 지부를 두게 되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건준에게 행정권 등을 제대로 이양하지 않아 마찰이 벌어졌는데, 이는 일본 본국에서 행정권을 미국에게 이양하라는 지시가 떨어졌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김성수, 송진우 등의 우익 세력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봉대[8]'를 주장하며 건국준비위원회에 협조하지 않았다.
이러던 중 9월 초에 미군이 진주한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건국준비위원회 측은 마음이 급해졌다. 때문에 9월 3일 내각 개편이 이루어지고 9월 6일 조선인민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비중이 좌익 측으로 기울자 안재홍 등 중도 우파 세력이 건국준비위원회 / 조선인민공화국에서 탈퇴하였다. 그러나 9월 7일 인천항에 진주한 미군은 포고령을 통해 조선인민공화국을 승인하지 않았으며 이에 얼마 가지 않아 실권이 없는 조선인민공화국은 와해됐다. 미군은 그 외의 모든 독립운동 단체들의 한반도에 대한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임시정부나 조선인민공화국과 같은 여타의 독립운동 단체 및 자칭 정부들은 당시 국민들의 보통선거와 같은 공식적 정부 수립 절차를 갖추지 않아 이들이 국민들을 대표한다는 민주적 정당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만약 독립 운동 단체들을 공식 정부로서 승인하게 된다면 해방 후 조선 국민들이 직접 참정권을 행사하여 정부의 형태와 인적 구성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침해된다고 지적하였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사실은 미국의 이 결정이 사실 쉬운 결정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당시 한반도 주민들의 대부분이 임시정부가 아닌 사회주의계 독립운동가들[9]을 지지하고 있었으며 이것이 미국에게 엄청난 부담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임시정부를 정부 차원에서 입국시켰다간 한반도 전체가 혼란의 도가니에 빠질 것은 불보듯 뻔한 일이라고 미국은 판단한 것이다. 임시정부 요인들에게 개인 자격으로 입국하라고 한 것도 그나마 상당한 대우를 해준 셈이다.
1947년 3월 트루먼 독트린이 발표되면서 동북아에 대한 미국의 정책 또한 뒤바뀌게 되었다.[30] 이 트루먼 독트린을 바탕으로 미국에서는 매카시즘 열풍이 불게 된다.[31] 이전까지의 정책이 좌익 측에 대해 비우호적일지언정 '민주주의'라는 명분을 지키려 했다면, 이 이후의 정책은 아예 반공 정권을 세우려는 성향이 강해져 좌익 측의 활동은 불법화되었다. 이에 맞춰 좌우합작운동 등에 대한 지원 또한 약해졌다.
1947년 5월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다. 제2차 미소공위는 초기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나, 참가단체 선정문제를 놓고 제1차 미소공위 때와 같은 문제를 넘지 못하고 끝내 1947년 10월에 결렬되었다. 이 과정에서 1947년 7월에는 여운형이 암살되어 좌우합작운동이 사실상 와해됐으며[32], 단독 정부 수립파의 목소리가 더욱 커졌다. 1947년 9월에는 미국 측이 제시한 한반도 내 선거를 통한 정부 수립안이 UN 총회에서 가결되었으나, 소련 측은 북한 지역에 UN 한국 임시 위원단이 들어오는 것을 거부하였다.[33] 이에 1948년 2월 UN 소총회에서 남한 지역만의 단독 선거 수립안이 결정되었다.
이러던 중 9월 초에 미군이 진주한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건국준비위원회 측은 마음이 급해졌다. 때문에 9월 3일 내각 개편이 이루어지고 9월 6일 조선인민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비중이 좌익 측으로 기울자 안재홍 등 중도 우파 세력이 건국준비위원회 / 조선인민공화국에서 탈퇴하였다. 그러나 9월 7일 인천항에 진주한 미군은 포고령을 통해 조선인민공화국을 승인하지 않았으며 이에 얼마 가지 않아 실권이 없는 조선인민공화국은 와해됐다. 미군은 그 외의 모든 독립운동 단체들의 한반도에 대한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임시정부나 조선인민공화국과 같은 여타의 독립운동 단체 및 자칭 정부들은 당시 국민들의 보통선거와 같은 공식적 정부 수립 절차를 갖추지 않아 이들이 국민들을 대표한다는 민주적 정당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만약 독립 운동 단체들을 공식 정부로서 승인하게 된다면 해방 후 조선 국민들이 직접 참정권을 행사하여 정부의 형태와 인적 구성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침해된다고 지적하였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사실은 미국의 이 결정이 사실 쉬운 결정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당시 한반도 주민들의 대부분이 임시정부가 아닌 사회주의계 독립운동가들[9]을 지지하고 있었으며 이것이 미국에게 엄청난 부담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임시정부를 정부 차원에서 입국시켰다간 한반도 전체가 혼란의 도가니에 빠질 것은 불보듯 뻔한 일이라고 미국은 판단한 것이다. 임시정부 요인들에게 개인 자격으로 입국하라고 한 것도 그나마 상당한 대우를 해준 셈이다.
남조선과도정부[편집]
|
||||||
[ 펼치기 · 접기 ]
|
남조선과도정부
南朝鮮過渡政府 | South Korean Interim Government |
||
성립 이전
|
이후
|
|
군정장관
|
아서 러치 / 제2대 (~1947.9.11.)
|
|
윌리엄 프리시 딘 / 제3대 (1947.10.30.~)
|
||
민정장관
|
1947년 3월 트루먼 독트린이 발표되면서 동북아에 대한 미국의 정책 또한 뒤바뀌게 되었다.[30] 이 트루먼 독트린을 바탕으로 미국에서는 매카시즘 열풍이 불게 된다.[31] 이전까지의 정책이 좌익 측에 대해 비우호적일지언정 '민주주의'라는 명분을 지키려 했다면, 이 이후의 정책은 아예 반공 정권을 세우려는 성향이 강해져 좌익 측의 활동은 불법화되었다. 이에 맞춰 좌우합작운동 등에 대한 지원 또한 약해졌다.
1947년 5월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다. 제2차 미소공위는 초기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나, 참가단체 선정문제를 놓고 제1차 미소공위 때와 같은 문제를 넘지 못하고 끝내 1947년 10월에 결렬되었다. 이 과정에서 1947년 7월에는 여운형이 암살되어 좌우합작운동이 사실상 와해됐으며[32], 단독 정부 수립파의 목소리가 더욱 커졌다. 1947년 9월에는 미국 측이 제시한 한반도 내 선거를 통한 정부 수립안이 UN 총회에서 가결되었으나, 소련 측은 북한 지역에 UN 한국 임시 위원단이 들어오는 것을 거부하였다.[33] 이에 1948년 2월 UN 소총회에서 남한 지역만의 단독 선거 수립안이 결정되었다.
김구와 김규식 등은 이에 반발하고 1948년 4월경 남북 회담을 열었으나 이미 북한 단독 정부 수립안을 차근차근 진행해 나가던 김일성 등에게 형식상의 합의를 얻었을 뿐이었으며, 이는 이후 북한의 선전에 이용되는 불행만을 낳았다. 한편 무장 좌익 세력에 의해 제주도에서 제주 4.3 사건이 일어나 총선거를 방해하였고 미군정은 이를 진압했으나, 이에 대한 토벌 작전이 벌어지면서 무고한 민간인이 다수 학살당했다.(한편 여수·순천 10.19 사건이 4.3 사건에 연동하여 벌어지면서 군내 좌익 숙청 작업이 벌어졌다.)
==>과연, 무장 좌익세력에 의해 일어난 사건들인가요"???
혹시 이태원사건까지????
728x90
반응형